나의 생각들

banksalad 알아보기

고수 지망생 2024. 3. 7. 18:52

왜 banksald인가?

나는 고등학생 때 과학 동아리에서 여러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면서 실험에 대한 재미를 느꼈다. 게다가 성인이 되면서 심리학과 경제, 사회학에도 관심이 생겼다. 이 모든 게 UIUX가 재밌게 느껴지는 이유인 것 같다. 이런 배경을 가지고

https://blog.banksalad.com/tech/birth-of-a-genuine-experiment-organization/

 2020년도에 작성된 뱅크샐러드 블로그 글을 읽게 된다. 이 글은 뱅크샐러드가 실험 문화를 정착시키려는 이유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모든 성과의 기준은 고객 임팩트에 달려 있고 그 것을 지표로 성장을 하는 회사임을 알고난 뒤로 이 회사에 입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연스럽게 핀테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금융사가 있는데 웬 핀테크?

그런데 핀테크가 성장하기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법적인 규제도 문제가 되었지만, 금융사가 과연 핀테크에게 협조를 적극적으로 했을까? 놀랍게도 뱅크 샐러드는 은행, 카드, 보험, 증권 등 업권을 막론하고 12개 금융사드과 *MOU를 체결하며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금융회사들도 뱅크샐러드의 영업 방식이 자사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금융회사는 자사 상품만 팔지만 뱅크샐러드는 모든 회사의 상품 데이터를 비교하고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뱅크샐러드

데이터 3법, 전자정부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법/제도 개정이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개인정보의 ‘이동권’이 광범위하게 보장되고 실행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개인정보, 나의 데이터가 ‘마이데이터’로 고유명사화 되는 것이다. 특히, 신용정보법 개정에 따라 오는 ‘21년 12월 금융분야 마이데이터신용정보의 이동이 본격 시행되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비즈니스 인프라의 변화이기도 하다.

 

뱅크샐러드 마이데이터 맵

뱅크샐러드는 사업자간의 경쟁 관점이 아니라, 마이데이터의 넓은 범위와, 커지는 새로운 시장의 가치 및 확장 가능성에 주목한다. 그래서 이 마이데이터 시장을 조망할 수 있는 길잡이로서, 뱅크샐러드 마이데이터 맵을 제안했다.

개인 아이덴티티 정보: 개인별 식별 가능한 고유 정보

사회적 정보: 사회적 기준과 관계에 의해 부여

라이프(생활) 정보: 개인별 라이프 전반에 걸친 활동 정보

재무 정보: 개인의 라이프 퀄리티 향상을 위한 자원

개인 프로파일링: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별적 정보 영역

-> 2,3,4 번 내용은 1번을 통해 끊임 없이 만들어지는 영역이고 5번은 2,3,4가 개인이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영역이 됨으로써 분석, 결합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의미있는 이차적 정보를 말한다.\

 

마이데이터 활용 패턴

이동한 나의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되고 가치를 증대할까?
통합, 결합, 보장, 전달, 확대가 대표적인 5가지 패턴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패턴과 유사하나, 그 대상이 되는 데이터 범위와 완전성이 높기 때문에, 불가능했던 혁신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이런 것을 기대해볼 수 있다->

1. 정보비대칭 해소

  • 정보비대칭이 발생하는 상거래와 계약 관계에서는 시장 선택, 역선택, 도덕적 해이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 이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도적 장치가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정보의 유통이 필요하다.
  • 마이데이터의 법/제도적 근거와 기본 인프라가 마련되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데이터 유통 비용이 낮아져 정보비대칭성을 해소할 수 있다.
  • 거래당사자간 신뢰가 높아지면서 사회적 비용과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사업자는 고객 데이터를 완결성있게 확보할 수 있다.
  • 마이데이터 기반의 중립적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개인은 객관적인 상품 정보와 판단 기준 데이터를 확보하여 정보비대칭에 따른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서비스를 줄일 수 있다.

2. 초개인화

  •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AI/알고리즘의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관심/선호도뿐 아니라 생활패턴, 위치, 예상 이벤트 등의 데이터 연결이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확장된다.
  • 전자적 처리가 가능한 마이데이터의 이동으로 업무프로세스 개선과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데이터 교환체계가 효율화된다.
  • 개인은 마이데이터를 물리적 매체 없이 이동할 수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권리 행사에 불편함이 줄어든다.
  • 회사는 고객 서비스의 속도와 접근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계약관계에 의한 비효율성이 해소된다.
  • 개인의 라이프사이클과 니즈를 넘어 전체 라이프스테이지로 확장되어 선제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지고, 서비스 이용과 구매 경험이 단순화되며 개인화된 상품/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개인에게 맞는 가격 조정, 다양한 상품/콘텐츠 정보를 중개하는 것)

3. 사회적 비용의 획기적 절감

  •  전자적 처리가 가능한 형태의 마이데이터의 원활한 이동으로 업무프로세스 개선과 사회적 비용 절감 가능
  • 개인은 물리적 매체 없이 원하는 곳으로 마이데이터 이동 가능, 시간과 비용 절약
  • 회사는 데이터 처리 비용 절감 및 고객 서비스 개선 가능
  • 기관 간 계약관계에 의한 비효율성 해소를 통한 비용 절감 가능

4. Data Monetization (데이터 수익화)

  • 마이데이터는 개인정보에서 출발하여 이동과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로 확대되고, 개인의 재산권으로 인식되며 금전적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 이동에 대한 동의와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는 개인의 마이데이터에 대한 금전적 보상 기대를 높입니다.
  • 데이터 구독 서비스 등을 통해 마이데이터가 자산으로 인식되며, 개인의 권리를 행사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가 마련됩니다.
  • 마이데이터의 범위는 창작물로서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넓은 범위로 확장되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본 미쓰비시 UFJ 금융그룹의 Dprime이라는 브랜드의 정보은행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비즈니스 모델

 

너무 어려워서 못 적었어요...

 

참고 자료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9144

https://blog.banksalad.com/tech/birth-of-a-genuine-experiment-organization/

https://blog.banksalad.com/2524bc79e3bea82c9f7a1d7f79a2ac59/mydata_handbook_2.pdf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