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I UX16

재밌는 인터렉션 모음 (모아질 예정) 2023. 12. 30.
사용자가 여우라면 웹사이트는 토끼다 (잡아먹혀라) 옛날 옛적 한 숲에 살고 있던 여우는 큰 토끼와 작은 토끼를 만났습니다. "뭘 먹지?" 여우는 생각했습니다. 큰 토끼를 먹을 것인지, 작은 토끼를 먹을 것인지는 토끼를 얼마나 쉽게 잡을 수 있는 가에 달려있죠. 여우는 큰 토끼가 껑충껑충 빠르게 도망가는 것을 보고 뽈뽈 거리는 느린 토끼를 잡아먹기로 했습니다. 위 이야기에서 여우는 사용자를, 토끼는 웹사이트를 의미한다. 토끼와 웹사이트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웹사이트는 잡히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사냥을 원하는 짐승같은 사용자들에게 어떤 매력을 보여줘야 쉽게 잡먹힐까? 정보 수집은 1990년대 후반 Peter Pirolli와 Stuart Card가 PARC에서 정의했며 동물이 먹이를 찾는 방법에 대한 동물 행동 이론에서 영감을 받았다. 따라서 동물 채집 이론.. 2023. 12. 30.
11번가 왜 이렇게 복잡해? UI/UX를 뜯어보며 이유를 살펴보자 https://www.figma.com/file/SwrqpuwZgKHNlfON1z1Q4X/%5BA1%EC%A1%B0%5D-%EC%B1%84%ED%95%9C%EC%83%98-%EB%94%94%EC%9E%90%EC%9D%B8%EC%9E%85%EB%AC%B8-%EA%B0%9C%EC%9D%B8_%EC%B1%84%ED%95%9C%EC%83%98?type=design&node-id=0%3A1&mode=design&t=yXSYtTx0YCpw9RaJ-1 🔼나의 결과물 링크 (부끄러우니 웬만해서는 보지말도록) 스파르타 코딩 클럽 본캠프 1주차 개인숙제를 드디어 마치게 되었다. 많은 UX/UI 심리학을 배우고 사용자를 공감하는 방법, 문제 정의하는 법 등을 배웠다. 이런 이론들을 6개의 강의와 숙제로 체득하고 마지막으로 .. 2023. 12. 29.
카카오톡 UI/UX를 디자인 원칙으로 분석해보자 일단 카카오 화면을 아래 네비게이션 바에 맞춰 5개로 탭화면을 나눠 캡처를 하였고 보이는 UI요소를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화면에서 디자인 원칙을 기반으로 좋은 사례와 나쁜 사례 두 가지씩을 찾아보았다. 겨우겨우 찾은 나쁜 사례 두 가지이다. 나쁜 사례만 있으면 카카오 속상하니까 좋은 사례도 찾아주었다. 그리고 진행해본 개선하기 내가 개선한 부분이 훨씬 좋아보이지 않는가? 카카오 보고 있다면 연락주시죠🧐 그렇게 1주차 6번째 강의 숙제도 모두 마쳤다. 이제 개인과제만이 앞두고 있는 상황... 내일 오후 1시까지 제출이라 개인 과제에만 몰두해보려 한다. 그럼 개인과제 편으로 다시 돌아오겠다. 끝 2023. 12. 28.
디자인 원칙은 어떻게 쓰일까? 직접 찾아보자 디자인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접 그 사례를 하나하나 찾아보자. 게슈탈트 심리학 유사성의 원리 근접성의 원리 폐쇄성의 원리 연속성의 원리 공통성의 원리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 스케일 시각적 위계 균형 대비 위 원칙들을 온보딩, 로딩, 검색, 회원가입, 리스트와 같은 부분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서핏에서 알아보자 서핏에는 여러 아티클들과 메뉴가 홈에 나열되어 있다. 자칫하면 많은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인지 과부하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데 카드별로 묶어 놓아 여러 아티클이 하나의덩어리처럼 느껴지게 잘 정리하였다. 그리고 수 많은 정보가 있을 때 더 작게 분할할 수 있다. 광고나 공고를 세 개로 나누어 카드와 같은 크기의 박스 안에 정렬해 놓았다. 카드 하나만을 보면 이미지가 카드의 .. 2023. 12. 27.
두근두근 디자이너 역할극을 해보자 (TC, QA) TC: Test case (가정 꾸러미) QA: Quality Assuarance (품질 보장) 오늘은 어떤 앱을 괴롭힐까 고민했는데 마침 미션에 "뱅크샐러들"라고 좌표를 찍어주셨다. 내가 뱅크샐러드 디자이너가 된 것 처럼 TC도 작성하고 QA까지 진행해볼 예정이다. 먼저 TC이다. 다양한 가정을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모두 적어보는 것이다. 나는 회원가입 파트만 골라서 작성해봤는데 생각보다 많은 양이 나왔다. 더 많이 나올 수도 있었지만 내가 나를 막았다. (다른 미션도 많다) 그렇게 제작된 TC에 이어서 QA를 작성했다. 발견한 이슈를 공유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이다. 잘못된 부분의 사진과 상세한 내용 및 개선안을 작성하면 된다. 끝 2023.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