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UX16 Skyscanner 앱의 디자인을 개선해보자 (UI/UX) 오늘의 주인공 Skyscanner앱이다. 단계별로 문제점을 정의하고 솔루션을 도출해보겠다. Empathy map을 이용해서 사용자 공감하기 4가지 박스로 나누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할 때 할 수 있는 인지적인 부분과 인지를 통해 나오는 결과들을 예상해보고 공감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때 보는것, 말과 행동에서 문제점을 도출할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휴식하면서 둘러보는 것과 어두운 테마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그 이유는 차차 말해주겠다. 5 Whys 질문 도르마무를 통해 문제 정의하기 문제는 어두운 테마에서 밝은 테마로 넘아가는 곳에서 눈에 피로도를 느낄 것이라는 생각에서 도출하기 시작했다. 질문 도르마무를 통해 관광지와 잘 어울리는 다크모드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SCAMPER로 솔루션 도출하기.. 2023. 12. 26. 알바몬 UI/UX에 꼬투리를 잡아보자 알바몬의 디자인을 낱낱이 파헤쳐 비판적으로 접근해보겠다. 참고로 알바몬의 디자이너분들 존경합니다. 이번엔 사진으로 정리해보았다. 보기 편할지 모르겠지만 알아서 확대해서 보라 버튼, 네비게이션, 하단 시트 세 가지를 집중 분석하였다. MATERIAL DESIGN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이번 분석을 통해서 "왜 이런 디자인을 했을까?"라는 궁금증이 많이 들었다. 더 나은 디자인이 있지만 수 많은 결재를 뚫지 못했을 수도 있고 오래전에 제작된 디자인 시스템과 개발구조 때문에 갈아엎지 못했을 수도 있다. 아무튼 오늘도 디자인을 보는 눈이 한 차원 올라갔다. 디자인 사륜안을 가질 그날까지 화이화이튀우이위우잉(갑자기 신나서 죄송합니다. 조금만 촐싹거리겠습니다.) 끝 2023. 12. 26. UIUX 용어 정리 1. 모바일/웹 GUI GUI는 Graphical User Interface(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약자로, 사용자가 그래픽 기반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복잡한 명령어 대신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활용하여 창, 버튼, 아이콘 등의 그래픽 요소들을 클릭하거나 조작하여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앱 안드로이드, iOS 등 각각 다른 모바일 운영 체제에 최적화 되어 개발된 앱이다.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나 애플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앱으로, 컴퓨터로는 접속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각 운영 체제에 최적화되어 개발되었기 때문에 각 모바일의 모든 기능 등 성능을 최대치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좋다는 장점이 있다. 웹앱 (반응형) 반응형 방식으로 모바일에서 사용.. 2023. 11. 27. UX 디자인을 하면서 알면 좋은 사실들 들어가는 글 UX는 제품의 사용처나 사용 방법 등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거나 제품이 작동하도록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때 하드웨어 UX와 소프트웨어 UX로 나뉘는데 물리적 형태를 지닌 것을 디자인 하는 것이 하드웨어 UX이고 비물리적인 부분을 디자인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UX이다. 소프트웨어 UX는 아직 산업디자인이나 인간공학과 같이 특정 분야로 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HCI나 인지심리학분야를 통해 조금씩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이 글에서 애매한 위치의 UX 학문의 현황의 감을 잡고 알면 좋은 사실들을 부가적으로 정리해 놓았으니 알아가면 좋을 것 같다. HCI(CHI) HCI는 Human-Computer Interface의 약자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서로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이.. 2023. 11.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