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UX16 디자이너에게 쓸만하다 싶은 링크 모음집 ※ 나만 보려고 대충 정리했음 주의일정 관리HoySuperlist노션캘린더아티클서핏요즘ITEO planetweekly DNNG디자인 나침반아웃스탠딩배민다움DBRScience direction유글리쉬(해외 유튜브 해석)팝틴와이즈팝포트폴리오플러스엑스바이널씨디파이더블닷노트폴리오드리블비핸스베스트포트폴리오폰트산돌구름눈누dafont웹,앱의 규격/규정W3CViewport Size for Devices (기기 규격)HIGMaterial DesignMDNreset css-css 맨 앞에 복붙하면 자동 마진 없애줌KRDS데이터 분석IGA works (마케팅분석)오픈서베이마이데이터google 트렌드네이버 데이터랩비틀리(전환율 테스트)메이즈(전환율 테스트)모바일 인덱스UIUX 아이템UI ball플랫 아이콘flaction-아이.. 2024. 10. 20. 비즈니스 모델은 어떻게 구축되는 것일까? ※ 이 글은 재무선배님의 brunch 글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카카오와 이베이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재무분석에 대해 알아보자 1. 카카오는 무엇으로 돈을 버는가? 카카오 그룹의 5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의 합계는 122조로 국내 3위까지 올랐다. Q1. 카카오톡으로 시작해 주구장창 고객만 모으던 카카오는 어떻게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수익모델을 만들어 냈을까? Q2. 왜 1000만 이상의 MAU를 가진 쿠팡, 배민, 당근마켓, 토스는 적자를 벗어나지 못할까? 가. 카카오의 비즈니스 확대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통해 고객을 모으고 락인한 후 크게 3가지 방법을 통해 비즈니스를 확대해왔다. 1. 기존 비즈니스 강화 2. 신규 비즈니스 확대 3. M&A/지분투자 나. 비즈니스 확대의 핵심 포인트 카카오 비즈니스의.. 2024. 2. 26. 대표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두 가지! 이번 내용은 스파르타 코딩 클럽을 수강하면 배운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비교하고 무엇이 다른지 알고자 한다. 1. 디자인 프로세스가 무엇인가? 디자인 프로세스란 디자인을 제작 과정 및 선택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디자인 씽킹과 더블 다이아몬드가 있다. 이 두 가지를 면밀히 살펴보겠다. 2. 디자인 씽킹 VS 더블 다이아몬드 A. 디자인 씽킹 디자인 씽킹은 논리적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디자인 프로세스 중 하나이며 세상에는 제품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디자인 씽킹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사용하는 방법론이다. -> 한 마디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문제를 찾고 제품을 만들어 검증하는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은 다음 5단계로 구성된다. 1. 공감하기 인터뷰나 관찰 .. 2024. 1. 31. Segmented control과 유사한 Tab menu! 잘 구분해서 사용하자 개인숙제에서 탭 메뉴를 개선하던 중에 아래와 같은 탭은 강진우 튜터님께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HIG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으니 참고해보라고 하셔서 찾아본 결과를 기록해 보겠다. HIG에서 말하는 Segmented Control(분할된 조작기) Segmented Control: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부분)로 구성된 선형 세트이며 각 세그먼트는 버튼 역할을 한다. 특징: 분할된 컨트롤 내에서 모든 세그먼트의 너비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버튼과 마찬가지로 세그먼트에는 텍스트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세그먼트 아래에 (또는 전체적으로 컨트롤 아래에) 텍스트 레이블이 있을 수도 있다. 모범 사례 세그먼트화된 컨트롤은 단일 선택 또는 다중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eynote에서 정렬.. 2024. 1. 31. 가짜 디자이너와 진짜 디자이너의 차이 주전부리 Talk 현재 내가 스파르타 코딩 클럽에서 강의를 듣고 피드백을 받으며 공부를 하고 있다. 이 캠프는 일과 공부를 병행해야만 했던 과거의 나에게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모두가 같은 교육을 받고 취업준비를 한다면 비슷한 사고와 디자인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아닐까?'하는 걱정이 들었다. 여러 아티클을 읽고 다른 팀원들과 소통을 하면서 다시금 그 걱정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검을 만들라는 미션을 받았을 때 검을 만드는 것에 집중한다면 좋은 대장장이가 되지 못할 것이다. 검을 만들기 위한 화로, 검을 두드리기 좋은 평평한 망치, 손이 데이지 않게 도와주며 검을 잡기 편한 장갑 등이 필요할 것이다. 하나의 검을 만들기 위해 수 많은 것들이 필요하고 중요하다. 이처럼.. 2024. 1. 10. 사용자를 기만하는 다크 UX 라이팅 이 글은 문정원님이 투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편집 및 부연설명을 한 글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맨 아래 출처를 통해 더 알아보길 바란다. 본격적으로 내용을 보기에 앞서 UX 라이팅과 다크 UX 라이팅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다. UX라이팅이란?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디지털 서비스의 다양한 텍스트 표현(타이틀, 버튼, 알림, 경고 등)을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민의 UX라이터는 이런 작업을 했다. 첫번째 사진에서 UX라이터는 서비스의 맥락을 파악하여 함께주문을 쓸 때 대표로 주문하는 사람 입장에서 몇 명이 골랐는지 보다 몇 명이 아직 안 골랐는지가 더 중요한 정보라는 생각을 도출하여 개선을 하였다. 두번째 사진에서는 정보 입력이 필요한 이유를 핵심만 간단히 전달하고 법적 근거를 최소한.. 2024. 1. 2. 이전 1 2 3 다음